[ 서울대 조사위 최종보고서 발췌 ]
여기서 바로 중요한 범인과 공범이 모두 발견됩니다.
분석한 1번줄기세포 총 3종(황교수팀의 배양2, 냉동1과 틀림, 착각하지 마세요)중 미즈메디와 문신용의 배양중이던 각 1개씩 2개를 빼고 황교수팀의 것만 봅시다.
조작위에서 1차로 황교수팀에서 배양중 2개와 냉동중인 1개 총 3개를 가져가서 DNA 분석을 하였는데 위의 조사위 보고서 도표처럼 배양중 1개는 아예 미즈 5번으로 나오고 나머지 배양중 1개와 냉동중이던 1개는 결과가 법의학, 국과수, 휴먼패스 3개 분석기관마다 모두 틀리게 나왔읍니다. 분석기관마다 틀리게 나온 이 2개는 조사위가 더이상의 결과를 주지 않았지만 분명 조사해보면 미즈메디 것들과 혼합 짬봉한 줄기세포라는 확인 될 것입니다.
1번 줄기세포(NT-1)를 만든 원래의 주인인 황교수팀의 1번줄기세포 1차 분석결과가 터무니 없이 나왔읍니다.(배양중 2, 냉동중 1)그 아래의 미즈메디와 문신용의 2개만 분석기관마다 깔끔하게 동일하게 나왔읍니다.
그 후 서조위에서 추가로 황교수팀에서 냉동중이던 17개를 3차 추가 분석했다고 적혀있읍니다. 3차 추가분석에서 17개중 11개는 Miz 5로 겨우 6개만이 미즈메디와 문신용이 보관중이던 것과 동일한 NT-1로 나왔다고 보고서에 적혀 있읍니다.
위 보고서에서도 명백히 드러나듯이 조작위는 미즈메디가 바꿔치기 한 것을 분명 알고서도 미즈메디를 위해 아주 충실한 "해석"을 해주는군요. 엿장수 마음대로 말입니다. 황교수측도 모르는 사실을 어떠한 근거도 없이 바꿔치기를 숨겨주려는 목적으로 "두가지 종류의 줄기세포가 섞여서 '기탁' 되어 보관되어 왔다"라고 해석된다라고 논리적으로 모순된 보고서를 작성한 서울대 조작위는 다른 증거를 차지하고서 미즈메디 및 문신용의 공범이 확인되는 증거자료입니다.
미즈메디와 문신용이는 황교수측이 성립한 진짜 NT-1로 많은 연구를 진행시켰읍니다. 정작 황교수측은 미즈메디에서 배양후 돌아온 가짜로 후속연구가 모두 "삽질"이 되었겠지요.
웃기는 점은 서조위가 추가로 분석한 17개가 무엇이었는지는 황교수측조차 알 수도 없다는 것입니다. 온통 바꿔치기되어 있으므로 서조위에서 다시 재바꿔치기해도 알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처녀생식이란 가능성을 만들어낸 DNA 48종 마커 분석에서 40개 일치하고 8개는 일치하지 않는 것은 미즈메디가 확보하고 있는 공여자 B의 체세포에 약간의 조작으로 변형시켜 공여자 B의 체세포 시료가 조작되서 만들어 졌다는 것입니다. 조작된 시료가 서조위에의해서 분석기관에 의뢰된 것이죠.
그리고 이 조작된 공여자 B의 체세포 시료를 줄기세포 및 테라토마와 비교한 것이구요. 그렇게 해서 48개 마커중 40개는 맞고 8개는 틀린 데이터를 만들어 내놓고 "처녀생식"이니 하면서 황우석 죽이기를 계속하는 것이지요
원래 황교수팀에는 모두 미즈 5번으로 채워져 있었다는 겁니다. 즉 "조작위"에서 추가로 했다는 17개중 6개를 미즈에서 가져다가 바꿔치기해서 검사했다는 것이죠. 즉 황교수팀에서 보관중이던 모든 것이 미?5번으로 나오면 100% 미즈메디에서 바꿔치기한 것이 드러나기 때문이죠.
읽어보셨으면 동의하시거나 이 글이 서프의 "울트라 뷰"나 대문으로 갔으면 좋겠다 하시는 분은 아래의 링크를 클릭하시고 +5 점수주기 좀 부탁드립니다.
'황우석 구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조은뉴스 속보 ] 분신 자살 몇일전에 결심한 듯...... (0) | 2006.02.04 |
---|---|
[스크랩] [시선 집중!!!] 속보 및 속보 분석--이 기사를 보고서야 전 확실히 알게 됐습니다..황박의 NT가 존재한다는 것을...여태 확증없어 무척 헤맸는데 매우 충격 (0) | 2006.02.02 |
[스크랩] ■■ [펌]어느 서울대 노선배가 스톡홀름효과에 대한 반박글 (0) | 2006.01.24 |
[스크랩] [필필필필필필필독!!!!!!!!!!!!!!]현재 검찰 최고 핵심 접근 중!!! 바꿔치기 및 황박사님 줄기세포 존재 대규모 반전 예고!!! (증거 포함 정밀 분석 중!!!) (0) | 2006.01.22 |
[스크랩] YTN 뉴스.속보(누구누구는 젓댄내.) (0) | 2006.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