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논의

[스크랩] 하나님의 사람 Samuel Rutherford (1600-1661) / 김명도 박사

향기나무 김성휴 2012. 12. 20. 07:50

출처:  김명도 박사의 신학포럼  2011-02-20  http://www.tulipministries.com/bbs/view.php?id=article&page=1&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185

 

 

 


 

 

                                          하나님의 사람 Samuel Rutherford (1600-1661)

                                                                                                              튤립 교육 선교회
                                                                                                               김명도 교수
                                                                                                       www.tulipministries.com
                                                                                                                                                      
         Scotland 는 흔히 John Knox하고만 연관을 지으려고 한다. Scotland 하면 John Knox 의 독점 무대인 것처럼 생각하는 목회자들이 많다. Scotland 의 종교개혁사를 몰라서 하는 말이다.  Scotland 는 장로교의 본산지라고 정평이 나 있다.  Scotland 에는 언약파들이 있고 그 언약파는  Edinburgh 시 St. Giles Church (John Knox 가 목회하던 교회)에서 불과 200 미터 거리에 있는 Grass Market 이라는 좁은 공터에서 모두가 교수형으로 순교하므로 신앙을 지켰고, 그들의 후예들은 신대륙으로 건너와서 일부는 Pittsburgh, Pennsylvania 에 본부를 두고 있고 (RPCNA, Reformed Presbyteiran Church of North America, 북미주 개혁장로교단), 일부는 Greenville, South Carolina 에 본부를 두고 있다. (ARPC, Associate Reoforded Presbyterian Church, 합동개혁장로교단). 이들은 모두 그들의 훌륭한 신앙의 조상인 Scotland 의 언약파 (the Covenanters) 의 후예들로서 모범적인 신앙생활하는 하는 사람들이다.

      그 언약파 중에 유난히 빛나는 학자가 있다. 그가 Samuel Rutherford (1600-1661) 이다. 그는 어떤 인물인가?  사람이 남의 mentor 가 되는 일은 쉽지 않은데 그는 많은 개혁주의 신학자들의 mentor 로 존경받고 있는 인물이다.

      그는 1600년에 Scotland 의 Roxburghshire 주 Nisbet 이라는 곳에서 농민의 아들로 태어 났다.  어려서부터 신앙심이 강하여 부모를 따라 핍박받는 개신교에 출석하였다. 1617년 그가 17세때에 유명한 Edinburgh University 에 입학하여 인문학을 연구하여 1621년에 Master of Arts (문학석사) 학위를 받고 졸업했다. 몇전 조교로 일하다가 드디어 모교의 Latin어 교수로 임명되었으나 그후 얼마 못가서 사소한 일로 오해를 받아 교직을 물러나야만 했다.

     이 때 Samuel Rutherford 는 회심하여 신학을 공부하기로 하고 신학교에 들어가 신학을 공부하고 나중에 1627년에 Kirkcudbrightshire (커크커드브라잇솨이어)  Anwoth (앤워스) 에서 목사로 안수를 받고 1636년까지 목회하다가 그해 그의 개혁주의 신앙으로 인하여 영국 왕에게 형벌을 받아  Aberdeen에서 투옥되었다.  이때 옥중에서 편지를 썼는데 모두 365가지 이다. 이 편지들은 그가 목회하던 Anwoth 에 있는 교인들에에 가는 편지로 그들에게 설교하는 형식으로 영적 성장을 위한 서간문들이어서 오늘까지도 고전으로 널리 읽혀지고 이다.

    1638년 석방되자 Anwoth에서 18개월 목회하다가 St. Andrews 대학에서 신학교수가 되었다. 1647년에는 St. Andrews 대학의 St. Mary college 의 학장이 되었고  나중에 대학의 총장이 되었다. 이 무렵 영국 London 에서는 영국의회가 영국 교회의 예배 형태를 재고하자는 취지로 모이고 있었는데 이 모임은 나중에 Westminster 신앙고백서 기초위원으로 변신한다. Samuel Rutherford 는 1643년 Scotland 대표 중 한 사람으로 London 에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기초위원회에 참석하였는데 그의 해박한 지식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와 대소요리 문답서 작성에 큰 영향을 주었다. 그가 4년간 London에서 활동하는 동안 고향에서는 그의 사랑하는 자녀 둘이 병으로 죽었다. 그래도 그는 집에 돌아가지 않고 남아서 신앙고백서 만드는 일에 계속 좋은 조언을 아끼지 않았다.

     London 에 있는 동안 그는 줄곳 글을 썼는데 당시 교회가 성경을 따르지 않으므로 그의 관심은 주로 교회 정치에 관한 글이었다.. 그가 쓴 많은 책 중에서 유명한 것은 Lex Rex (The Law and the King, 1644)라는 책이다. 원명은  The Law and the King: Dispute for the Just Prerogatives of King and the people 이다.  1690 년에 Scotland에서 일어난 개혁 혁명은 그가 쓴 Lex Rex 에서 언급한  원칙을 실천에 옮긴 것이었다. 이 책은 세상 나라 군왕은 모두 하나님이 세운 것이므로 하나님에게 복종해야 하며, 그리스도가 왕이요 그리스도가 곧 법이므로 그에게 순종하며 살아가는 것이 인간의 분분이라는 내용이다.

     그 외에도 루더프드는 The Due Right of Presbyteries (1644) 이란 책을 통해서 장로교 체제에서 노회의 직능을 설명했고,  The Trial and Triumph of Faith (1645) 이라는 책을 통해서 참다운 믿음은 성경적인 믿음뿐인 것을 강조했으며,  The Divine Right of Church Government and Excommunication (1646) 이란 책에서 당시 Westminster 신앙고백서를 작성하면서 항상 말썽을 피웠던 Erastus (교회는 국가가 관리해야 한다고 주장한 medical doctor 로서 신앙고백 위원회에서 사사건건 의사진행을 방해한 인물) 을 신랄하게 비판했고,  Christ Dying and Drawing Sinners to Himself (1647) 이란 책을 써서 기독교의 교리를 정립했으며,  A Survey of the Spiritual Antichrist (1648)라는 책을 써서 도덕폐기론(Antinomianism)을 공격했으며,  A Free Disputation against Pretended Liberty of Conscience (1649) 라는 책을 통해서 <양심의 자유> 라는 미명으로 온갖 죄를 짓는 사이비 성직자들의 그릇된 신앙을 비판했다.  그의 저서들은 대개 Latin 어로 기록되었고 영어로 번역되었으나 대부분 절판이며 한국어로는 거의 번역되지 않고 있는데 이유는 이런 명저를 번역해도 개혁주의 신학도외에는 아무도 관심이 없어 판매고를 올릴수 없기때문이다. 어느 책을 읽어 보아도 그의 철저한 개혁주의 신학으로 뜨겁게 주님을 사랑하는 마음에 눈물이 앞을 가리운다.  오늘 우리 주변에 이런 신앙가가 필요한다.

     그는 1648년과 1651년 두 번이나 대륙에서 화란의 대학의 교수로 청빙을 받았으나 Scotland에서 할 일이 남았다고 하며 거절했다. 1660년 영국에는 Charles II (Charles I 는  Oliver Cromwell 이 이끄는 영국 의회파(議會派) 에게 죽임을 당하고 그의 뒤를 이은 아들  Charles 2세) 가 등극하여 종교탄압과 개혁주의 목사들을 공개 처형하는 일이 심해지던 무렵 Lex Rex 는 금지물로 규정되었고 남아 있는 모든 Lex Rex 책을  소각하라는 왕명에 따라 아까운 책이 모두 소실되는 비운을 맞게 되었다.

     그러나 그 무서운 핍박의 바람이 루더포드에 이르기 전에 하나님은 그를 안전한 곳으로 피신 시켰는데 1661년 3월 29일 61세의 나이로 그는 하나님의 곁으로 돌아갔다.  달려갈 길을 마치고 믿음을 지키고 선한 싸움을 멋지게 싸우고...

     그가 남긴 유명한 말들을 모아보면,

“ I am made of extremes.” 나는 극과 극을 알 뿐이다 (그는 진리와 비진리의 구별이 명확한 신학 교수 이다).

“ A prayer is like a file to stir my rusty heart.” 기도란 녹쓴 내 심령을 일깨워주는 줄칼과 같은 것이다. (그는 기도의 용사 이다)

“ A good conscience is like a  good soft well-made bed.” 좋은 양심은 잘 만든 부드러운 침대와도 같다(그는 남에게 부끄럽지 않은 맑은 양심으로 살아 간 학자).

- "The world loves nothing worse than sorrow for sin“ 세상 사람이 가장 사랑하지 못하는 것은 죄에 대한 슬픔이다(그는 전도에 불붙는 전도자) 였다.
    
      그는 그의 앞서간 선배 John Knox처럼 한 평생 세상 사람을 무서워하지 않고 왕이신 주님에게만 충성했던 Scotland 의 개혁가중의 최고의 개혁가로 신앙이 바로 서고 불의에 타협하지 않는 양심가이며 진실된 개혁주의 학자요 목회자였다. 1993년 10월 초 St. Andrews 대학에서 바로 길 건너에 있는 공터로 그 분이 누어있는 무덤을 찾아갈 기회가 있었는데 잡초가 무성한 그의 무덤의 비명(碑銘) 에는 다음과 같은 글귀가 적혀 있었다.

                                   Samuel Rutherford (1660-1661)
                                      For the Glory of God

       그의 무덤 앞에서 숙연해 지는 나의 눈엔 어느새 눈물이 흘렀다.  그는 그 분 처럼 살아 가리라. 세상이 험해도, 핍박이 와도 나는 그렇게 일평생 61년을 살다 가신 그 분처럼 살다 가리라 다짐했다.  그는 나의 mentor 이다.                                      

  -하나님의 사람 Samuel Rutherford, 끝-


       글: 김명도 교수
    사진: Scotland 의 종교개혁가 Samuel Rutherford, 필자의 멘토

출처 : 생명나무 쉼터
글쓴이 : 둥지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