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녹색혁명의 대한 평가와 생명운동
녹색혁명의 대한 평가와 생명운동
*석유를 토대로 한 문명의 발달과 과학기술의 증진으로 발생되는 문제점 즉
녹색혁명은 선진국의 경험을 토대로 발전도상국에게 적용한 결과 얻어진 성과이며, 따라서 혁명이었던 만큼 큰 성과와 더불어 많은 문제점도 초래됨
1. 그 효과가 급격히 나타나서 생산이 급속히 상승하였다.
2. 여러 국가에서 동일한 방법으로 동시에 실행하였다.
3. 다수확을 올리는 작목의 종류가 제한적이므로 다른 작물의 재배 면적은 감소하거나 또는 소멸되어 갔다. 따라서 다국적 기업에 의한 종자지배와 식료지배가 훨씬 강화하게 되었다.
4.혁명의 후유증으로 인한 수많은 사회문제를 초래하였다.
<문제점>
1. 농업의 역사성과 지역성 및 생태적 영향이 경시(무시)되고 있음
* 자원의 다투입형 농업화
* 시설 이용형 농업화
* 중화학적(석유자원) 농업화
* 대량생산- 대량유통- 대량소비의 시스탬화
2. 이에 따라서 초기와는 달리 점차적으로 투입자원량에 대한 수확량의 비율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현재는 마이나스로 되고, 품질도 저하되면서, 농가부채가 점차로 커지는 구조를 초래하게 되었다.
3. 녹색혁명은 소품종 대량생산 체재로 전환됨에 따라 농산물의 저가격화 됨
4. 작물 종류의 단순화로 인해 식료 수입 의존도를 높였으며
5. 집단 재배와 병해충의 빈발은 과다한 화학자재의 투입을 초래하여 생태계의 파괴로 나타 나고 있고,
6. 그 외에도 다수확을 위한 유전자 변형 농산물, 삼림 파괴의 문제점등
7. 지속 불가능한 농업 형태로 진행되고 있다.
<지속 가능한 농업>
1. 저투입으로 경제적 투자를 최소화하는 경제 지속성
2. 소비자에게 안전한 먹거리를 안심하게 소비시킬 수 있는 소비지속성
3. 환경을 파괴하지 않고 농산물 생산환경의 부하를 줄여가면서 생산성을 늘려가는 생산 지속성
4. 각지역 환경에 맞는 농작물들의 윤작 등으로 지속적 토지이용 시스탬 확립
5. 물질의 완전순환체계(생산-소비-환원)로 재생기능을 살리는 농업
환경농업(유기농업)은 혁명이 아니고 범국민운동이 되어야 한다.
농업은 생산만을 목적으로 한 1차 산업이 아니라 국가의 방위를 위한 산업으로써 생태계와의 조화를 이루어 환경을 지키며, 국민의 건강을 책임진 안전한 먹거리를 생산하며, 우리 모두의 건전한 휴식을 위한 레저공간을 제공하는 가장 중요한 국가 제일의 안보산업입니다.